한때는 휩쓸었는데…중국 간 한국 브랜드들 근황 / SBS 8뉴스

SBS 뉴스

3.94 million Subscribers

447,262 views since Nov 26, 2023

〈앵커〉

지금까지 중국은 우리나라가 수출을 많이 해서 흑자를 보는 나라였는데, 이제 상황이 달라졌습니다.

우리가 석유를 수입해오는 중동 국가보다 이제 중국에서 더 큰 적자가 나오고 있는데 왜 이런 현상이 나타나는지, 정준호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전기차 배터리의 핵심 원료인 리튬.

80% 이상을 중국에서 수입하는데, 3년 새 가격이 약 7배나 뛰었습니다.

[배터리업체 관계자 : 중국이 아무래도 리튬 광물 그리고 리튬 가공 공정을 많이 보유하고 있어서 국가 전체적으로는 가장 큰 협상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지난달 한국의 반도체 수출은 중국 경기 둔화 등의 영향으로 전년 대비 40% 넘게 감소했습니다.

이렇게 수입액은 크게 늘고 수출 물량은 줄어, 올해 2월까지 대중국 무역수지는 50억 7천400만 달러, 6조 5천억 원 적자로, 교역국 중 최대 적자 규모를 기록했습니다.

천연가스 수입국인 호주와 최대 원유 수입국 사우디아라비아보다도 적자 폭이 더 큰 겁니다.

92년 한중 수교 후 계속 흑자였던 중국과의 교역은 이대로라면 올해 31년 만에 적자가 예상됩니다.

과거 중간재 수입에 의존했던 중국의 배터리와 석유화학 등은 이제 오히려 수출 비중이 더 커졌고, 자동차는 지난해 흑자 전환했습니다.

우리와 수출 구조가 점차 유사해지고 있는 겁니다.

[장상식/무역협회 동향분석실장 : 중국이 수입하는 수요 자체가 점점 줄고 있기 때문에 앞으로 우리나라 대중 무역은 우리 흑자가 조금씩 축소가 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중국 정부의 내수 강화 정책과 제품 경쟁력 상승도 한 원인입니다.

일례로 국내 대형 화장품 업체 3사는 한때 중국 내수시장을 휩쓸었지만, 지금은 3사를 다 합쳐도 색조 부문에서는 한 중국 화장품브랜드보다 점유율이 떨어집니다.

5년 전 27%였던 한국 수출 중 중국의 비중은 20% 아래로 떨어지는 등 교역 규모가 줄어 적자도 고착화하는 양상입니다.

(영상편집 : 오노영)


☞더 자세한 정보
https://news.sbs.co.kr/y/?id=N1007132361


#SBS뉴스 #수출 #중국

▶SBS 뉴스 채널 구독하기 : https://n.sbs.co.kr/youtube
▶SBS 뉴스 라이브 : https://n.sbs.co.kr/youtubeLive , https://n.sbs.co.kr/live

▶SBS 뉴스 제보하기
홈페이지: https://n.sbs.co.kr/inform
애플리케이션: 'SBS뉴스' 앱 설치하고 제보 - https://n.sbs.co.kr/App
카카오톡: 'SBS뉴스'와 친구 맺고 채팅 - https://pf.kakao.com/_ewsdq/chat
페이스북: 'SBS뉴스' 메시지 전송 -   / sbs8news  
이메일: [email protected]
문자: #6000
전화: 02-2113-6000

홈페이지: https://news.sbs.co.kr/
페이스북:   / sbs8news  
트위터:   / sbs8news  
카카오톡: https://pf.kakao.com/_ewsdq
인스타그램:   / sbsnews  

© Furr.pk

TermsPrivacy

[email protected]